전체 글

게임/롤토체스 (Teamfight Tactics)

[롤토체스] 골딱이의 롤토체스 아이템 추천

운좋게 골드까지 왔다. 개학하기 전에 다이라를 찍고 싶지만 될지 모르겠다. 롤토체스는 아이템망겜이라는 말이 있다. 어느정도 동의한다. 아이템이 잘 나올수록 좋고, 어떤 조합 아이템이 구성되냐에 따라 시너지 방향성도 영향을 받는다. 그런의미에서 정리도 해둘겸 괜찮은 조합아이템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주의 : 저는 골딱이입니다. 참고만 하시고 제대로 된 아이템 추천은 더 잘하는 분의 공략글을 참고해주세요. 1. 마법공학 총검 설명 : 가한 모든 피해량의 33%만큼 체력 회복 초반에 쓸만한 아이템은 아니지만, 중후반부에 아트록스, 아칼리, 드레이븐에게 공속 아이템과 함께 달아주면 좀비같은 생존력을 보여준다. 스킬 데미지까지 체력 회복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스킬 데미지가 높은 챔피언에게 생존력을 높여주고..

컴퓨터/자료구조

[자료구조 / C++] 이진 탐색 알고리즘 시간복잡도와 순차 탐색 알고리즘과의 비교 (Binary Search Algorithm Time Complexity and Comparison with Linear Search Algorithm)

이진 탐색 알고리즘 역시 시간복잡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전에 알아본 순차 탐색 알고리즘에 비해 얼마나 효율적인지도 시간복잡도를 통해 알아본다. 여기서 알아볼 시간복잡도는 최악의 경우만을 따진다. 최선의 경우는 한 번이고, 평균적인 경우는 따지기가 몹시 애매하기 때문이다. 아니, 솔직히 말하면 그냥 어려워서다. 나중에 알아보도록 하자. 여기선 오직 최악의 경우(Worst case)만을 다루도록 하겠다. 최악의 경우(Worst case) 시간복잡도 데이터의 개수가 n개인 경우, 이진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했을 때의 연산 경우의 수는 아래와 같이 일반화할 수 있다. 1. n이 1이 되기까지 2로 나누고 나머지를 버린다. 비교연산 횟수 총 k회 2. n이 1이 되었을 때, 마지막 비교연산 1회 이제 k를..

컴퓨터/자료구조

[자료구조 / C++] 이진 탐색 알고리즘 (Binary Search Algorithm)

이전에 설명한 순차 탐색 알고리즘보다 훨씬 좋은 성능을 보이는 이진 탐색(이분 탐색) 알고리즘이다. 영어로는 Binary Search Algorithm. 뜻에서 알 수 있듯이 숫자 2와 관련있는 알고리즘이다. 탐색 범위를 반 씩 줄여가며 탐색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혀졌다. 다만 이 알고리즘은 한 가지 제약조건이 있다. 조건 : 저장된 데이터는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성능이 빠른데에는 역시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렇다면 이제 간단한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원리 탐색에는 언제나 지시자가 존재하는데, 이진 탐색의 경우에는 first, last, mid 3가지의 지시자가 존재한다. 위의 이미지처럼 7개의 데이터가 담긴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데이터에서 숫자 '3'을 탐색한다고 가정해보자. 첫 번재 탐색에서는 위..

게임/롤토체스 (Teamfight Tactics)

[롤토체스] 겨우겨우 실버4 달성, 롤체지지(lolchess.gg) 활용방법

요새 유일하게 하는 게임인 롤토체스. 방금 막 브론즈1에서 승급하여 실버4를 달성했다. (실버 5는 왜 건너뛴걸까? 3등으로 승급했는데?) 정작 난 롤 랭겜은 단 한 판도 해본 적이 없다. 그저 가끔 칼바람이나 드물게 협곡을 일반전으로 즐길뿐. 실버따위가 하는 팁이라지만, 초보자라면 롤체지지(LoLChess.GG)를 이용하면 게임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많이 된다. 요즘 유행하는 메타(덱)은 물론 시너지, 아이템 조합, 배치 시뮬에이터도 이용할 수 있다. 평소 게임할 때 항상 아래 이미지처럼 창을 띄워두고 게임을 한다. 30초의 준비시간 동안 알트텝을 누르고 빠르게 확인해서 어떤 조합으로 방향을 바꿀지, 지금 가진 아이템으로 어떻게 꾸려나갈지 생각한다. 고마운 듀얼모니터 덕에 눈 앞에서는 게임을, 보조 모니..

컴퓨터/자료구조

[자료구조/C++] 순차 탐색 알고리즘 평균 시간 복잡도 (Linear Search Algorithm Average Time Complexity)

바로 이전에 순차 탐색 알고리즘에 대해서 깊게 탐구해보았다. 그러나 평균 시간 복잡도를 좀 더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내가 구한 공식과 실제 값을 비교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해당 코드를 직접 수정하여, 예측값과 10000번의 테스트를 통해 얻은 실제 평균값을 비교하는 것이다. 배열 내에 값이 존재할 확률(p)는 50%로 설정해두었다. 구현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LinearSearch(vector x, int target) { for (int i = 0; i < x.size(); i++) if (x[i] == target) return i; return -..

흥겹다
술 많이 먹고싶다